온누리상품권은 전통시장과 상점가의 활성화를 위해 발행된 상품권으로, 다양한 곳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. 하지만 정확한 사용처를 알지 못해 활용에 어려움을 겪는 분들도 계실 텐데요. 이번 글에서는 온누리상품권의 사용처를 상세히 정리해 드리겠습니다.
1. 온누리상품권이란?
온누리상품권은 중소벤처기업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발행하는 전통시장 및 상점가 전용 상품권입니다. 전통시장과 상점가의 판매 촉진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목적으로 도입되었으며, 지류형, 카드형, 모바일형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고 있습니다. 온누리상품권 공식 사이트
2. 온누리상품권의 종류
온누리상품권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형태로 발행됩니다:
- 지류형 상품권: 종이 형태의 상품권으로, 5천 원권, 1만 원권, 3만 원권이 있습니다.
- 카드형 상품권: 충전식 카드 형태로, 온누리상품권 앱을 통해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.
- 모바일 상품권: 스마트폰 앱을 통해 구매 및 결제가 가능한 형태로, QR코드를 활용하여 결제합니다.
3. 전통시장에서의 사용
온누리상품권은 전국의 전통시장과 상점가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. 가맹점 여부는 가게 입구나 계산대 근처에 부착된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스티커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. 또한, 온누리상품권 공식 사이트의 가맹점 찾기 기능을 활용하여 주변 가맹점을 검색할 수 있습니다.
4. 온라인 사용처
온누리상품권은 온라인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. 주요 온라인 사용처는 다음과 같습니다:
이러한 온라인 전통시장관에서는 다양한 전통시장 제품을 온라인으로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. 온누리상품권 온라인 사용처
1.온누리 상품권 사용처 가능업종과 사용불가 업종
1. 주요 사용 가능 업종
- 전통시장 및 소상공인 가게
- 농산물 직거래 장터
- 수공예품, 의류, 생활용품 매장
- 전통시장 내 식당, 정육점, 생선가게
- 스포츠 및 레크레이션 학원 (태권도, 요가, 필라테스 등)
- 예술학원, 의원, 한의원, 치과, 동물병원
- 노래연습장, 법무 및 세무사무소[1][2]
2. 사용 불가 업종
- 대형마트 (이마트, 롯데마트, 홈플러스)
- 백화점 (신세계, 롯데백화점)
- 프랜차이즈 직영점 (스타벅스, 맥도날드)
- 유흥업소, 주류 및 담배 판매점[2]
3. 인기 사용처 TOP 10
- 대전 은행동상점가 성심당 본점
- 신당동 신당미래유산먹기리골목 마복림할머니집
- 서울 신당미래유산먹기리골목 우정 떡볶이
- 속초 중앙시장 만석닭강정
- 부산 부전상가시장 고래사어묵본점
- 서울 망원시장 우이락본점
- 서울 망원시장 큐스
- 서울 망원시장 망원고로케
- 수원 팔달문시장 진미통닭
- 수원 팔달문시장 용성통닭[1]
4. 사용처 확인 방법
- 온누리페이 앱 사용
- 앱 실행 및 로그인
- '가맹점 찾기' 메뉴 선택
- 지역 또는 매장명 검색
- 가맹점 위치 및 사용 가능 상품권 확인
- 웹사이트 접속
- '가맹점 검색' 메뉴 클릭
- 지역 또는 시장명 입력 후 검색
- 검색 결과에서 사용 가능 상품권 종류 확인
- 오프라인 매장 방문 시
- 매장 입구의 "온누리상품권 가맹점" 스티커 확인
- 직원에게 사용 가능 여부 직접 문의
5. 온누리 상품권 종류 및 할인율
상품권 종류 | 할인율 | 구매 가능 기관 |
---|---|---|
지류 상품권 | 5% | 16개 금융기관 |
충전식 카드형 | 10% | 7개 카드사 |
모바일 상품권 | 10% | 온누리페이, 비플페이 |
주의: 상품권 최대 보유 금액은 200만 원입니다.[1]
이 정보를 활용하여 온누리 상품권 사용처를 쉽게 찾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.
2.유의사항
- 대형마트, 프랜차이즈 매장(예: 롯데리아, 다이소 등)이나 전통시장 및 지정 구역을 벗어난 곳에서는 사용이 제한됩니다.
- 지류, 카드형, 모바일(디지털) 상품권에 따라 사용 가능한 가맹점이 약간 다를 수 있으니, 결제 전 점포에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.
궁금한 특정 지역이나 업종이 있다면 말씀해 주세요. 더 자세히 찾아볼게요!
온라인 전통시장관에서는 전통시장 및 상점가 제품들을 온라인에서 만나볼 수 있습니다.
onnurigift.or.kr](https://onnurigift.or.kr/online_market)
5. 가맹점 확인 방법
온누리상품권 가맹점은 전국에 약 12만 5천여 곳이 있습니다. 가맹점 확인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:
- 온누리상품권 공식 사이트: 가맹점 찾기 기능을 통해 지역별 가맹점을 검색할 수 있습니다.
-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: 전국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현황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.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현황
6. 사용 시 유의사항
온누리상품권을 사용할 때에는 다음 사항을 유의하셔야 합니다:
- 유효기간: 발행일로부터 5년입니다.
- 잔액 환불: 권면금액의 60% 이상 사용 시 잔액을 현금으로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.
- 현금영수증 발급: 상품권으로 결제한 금액에 대해 현금영수증 발급이 가능합니다.
7. 온누리상품권의 혜택
온누리상품권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혜택을 누리실 수 있습니다:
- 할인 구매: 지류형 상품권은 구매 시 5% 할인 혜택이 있으며,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은 충전 시 10% 할인 혜택이 있습니다.
- 소득공제: 사용 금액에 대해 최대 40%의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.
8. 온누리상품권의 활용 방안
온누리상품권은 전통시장에서의 장보기뿐만 아니라 온라인 쇼핑, 외식, 문화생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. 이를 통해 전통시장과 지역 상권을 활성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.
9.자주 묻는 질문 (FAQ)
Q1. 온누리상품권은 어디에서 구매할 수 있나요?</h4
온누리상품권은 전국 주요 은행(농협, 우리은행, 신한은행 등) 및 모바일 앱(온누리상품권 앱, 제로페이 앱)에서 구매할 수 있습니다.
Q2. 카드형 상품권은 어떻게 충전하나요?
카드형 상품권은 온누리상품권 앱을 통해 충전할 수 있으며, 계좌 이체 또는 카드 결제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Q3. 온누리상품권은 모든 시장에서 사용할 수 있나요?
아닙니다. 온누리상품권 가맹점으로 등록된 전통시장 및 상점가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.
Q4. 온라인 쇼핑몰에서 사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?
온누리상품권 온라인 가맹점에서 결제 시, 모바일 상품권 또는 카드형 상품권을 이용하여 결제할 수 있습니다.
Q5. 상품권으로 결제할 때 거스름돈을 받을 수 있나요?
권면금액의 60% 이상을 사용한 경우에만 잔액을 현금으로 환불받을 수 있습니다.
Q6. 소득공제를 받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?
온누리상품권 사용 시, 현금영수증을 요청하거나 모바일 및 카드형 상품권을 사용하면 자동으로 소득공제 처리가 됩니다.
마무리
온누리상품권은 전통시장과 상점가에서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결제 수단으로, 지류형, 카드형, 모바일형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됩니다. 전국 가맹점과 일부 온라인 쇼핑몰에서도 사용 가능하며, 구매 시 할인 및 소득공제 혜택이 주어집니다. 온누리상품권을 활용하여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실용적인 소비를 경험해보세요.